“한국관 건물의 한계 오히려 이용해 볼래요”

“한국관 건물의 한계 오히려 이용해 볼래요”

입력 2013-01-17 00:00
수정 2013-01-17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단독작가 김수자씨

“한국관 건물이 주는 한계에 대한 얘기가 많았는데, 이번엔 오히려 그걸 이용해보려고 합니다. 건물 자체를 보따리 개념으로 싸고 푸는 방향으로 작업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김수자 작가
김수자 작가
오는 6월 개막하는 이탈리아 베네치아비엔날레의 한국관 단독작가로 선정된 김수자(56) 작가가 전시 방향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16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린 전시설명간담회에서 김 작가는 “한국관 단독 작가 선정은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고 베네치아에서는 이미 여러 차례 전시를 진행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기대받는 만큼 새로운 작업을 내놓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작업 방향에 대해서는 “미국 뉴욕에 머물 당시 허리케인 샐리 때문에 1주일간 전기, 물 공급 같은 것이 멈춰버린 시간이 있었는데 그 경험을 녹일 것”이라 말했다. 작품에 대해서는 구체적은 언급을 회피한 채 “소리와 빛과 공간의 작업이 될 것이고 뭔가 보리라고 생각한다면 오히려 실망할 수도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면서 “기존에 해왔던 제 작업인 보따리의 개념과 문맥을 한번에 다 풀어내겠다”고 말했다.

대구에서 태어나 홍익대에서 그림을 배운 작가는 1984년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에서 수학했다. 1997년 트럭 위 보따리 더미를 타고 여행하는 비디오 작품을 통해 작품성을 인정받은데 이어 1998년, 2005년 베네치아비엔날레 전시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