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천안지역 중·고교 재학생 학부모들이 추진해 온 하복 공동구매가 무산됐다.
29일 천안지원교육청과 일선 중·고교에 따르면 적정가격의 교복 공급을 위해 학부모 대표와 교복업체 관계자가 만나 새 학기 이후 공동구매와 관련한 협상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결렬됐다.
일선 학교에서는 지난 23일 학교장 이름으로 학부모에 가정통신문을 보내 교복업체와의 협상 결렬 사실을 알리고 개별 구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교복 공동구매를 위해 개별 구매를 미뤄왔던 대다수 학부모는 교복 교체 시기가 임박해 교복업체가 제시하는 높은 가격에 살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중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A(42)씨는 “공동구매를 위해 기다렸는데 개별적으로 비싼 가격에 교복을 사게 됐다”며 “충분한 시간을 두고 협상을 해 학부모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천안교육지원청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교육 당국이 직접 나서 교복 가격을 낮추는 방안이 없다”며 “올해 공동구매 논의 시점이 늦은 데다 이마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해 아쉽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9일 천안지원교육청과 일선 중·고교에 따르면 적정가격의 교복 공급을 위해 학부모 대표와 교복업체 관계자가 만나 새 학기 이후 공동구매와 관련한 협상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결렬됐다.
일선 학교에서는 지난 23일 학교장 이름으로 학부모에 가정통신문을 보내 교복업체와의 협상 결렬 사실을 알리고 개별 구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교복 공동구매를 위해 개별 구매를 미뤄왔던 대다수 학부모는 교복 교체 시기가 임박해 교복업체가 제시하는 높은 가격에 살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중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A(42)씨는 “공동구매를 위해 기다렸는데 개별적으로 비싼 가격에 교복을 사게 됐다”며 “충분한 시간을 두고 협상을 해 학부모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천안교육지원청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교육 당국이 직접 나서 교복 가격을 낮추는 방안이 없다”며 “올해 공동구매 논의 시점이 늦은 데다 이마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해 아쉽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