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근로여성 평균 204만원… 3명 중 1명꼴로 재취업 실패
직장 여성이 결혼 등으로 퇴직했다가 나중에 재취업했을 때 같은 일을 꾸준히 해 온 동급의 여성보다 월 급여가 50만원 이상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여성가족부가 결혼, 임신,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58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취업 경험이 있는 여성 5493명 중 ‘경력 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은 과반수인 58%(3185명)에 이르렀다. 경력이 단절된 후 재취업을 하지 못한 여성은 33.7%로 3명 중 1명꼴이었다.
경력 단절은 재취업 때 임금에도 영향을 미친다. 경력 단절 경험이 있는 취업 여성의 임금은 평균 월 149만 6000원으로, 지속적으로 일을 해 온 여성들의 평균 임금(204만 4000원)과 비교해 54만 8000원쯤 차이가 났다.
재취업에 성공한 경력 단절 여성이 경험한 애로사항은 ‘자녀 양육 및 보육의 어려움’이 41.1%로 가장 높았다. 아직까지 여성들이 경제활동 때 육아로 인한 부담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뜻이다. 연령별로는 30대, 40대, 20대 후반 순으로 이 같은 어려움을 토로했다.
재취업을 하지 못한 경력 단절 여성들은 정부에 바라는 점으로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를 먼저 꼽았다. ‘연령 차별 해소 노력’과 ‘여성 능력 개발을 위한 직업훈련 지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여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반영해 2015~2019년 시행될 ‘제2차 경력 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조윤선 장관은 “경력 단절로 인한 소득 격차가 큰 만큼 생애주기별 경력 단절 예방 정책과 맞춤형 취업 지원 등에 더욱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4-02-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