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벤져스’ 한 번 더…할리우드영화 서울 유치 추진

‘어벤져스’ 한 번 더…할리우드영화 서울 유치 추진

입력 2014-09-29 00:00
수정 2014-09-29 14: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몬트리올 시장 면담…상호 방문·사회적경제회의 개최 추진

지난 4월 서울에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어벤져스2’ 촬영이 이뤄져 화제가 된 가운데 서울시가 또 다른 할리우드 영화의 서울 촬영을 유치하기 위해 나섰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8일(현지시간) 할리우드 파라마운트 픽처스 스튜디오에서 영화 ‘스타트랙’ 시리즈의 프로듀서 제프리 체노브(Jeffrey Chernov)와 2016년 개봉할 ‘스타트랙3’ 감독 로베르토 오씨(Roberto Orci)와 만났다.

박 시장은 서울의 해외 영화·드라마 로케이션 지원 내용과 촬영지로서 서울이 가진 매력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박 시장은 “어벤져스2 촬영을 통해 현대 도시 서울의 역동적인 매력이 세계에 알려졌다”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에도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로 유명한 워쇼스키 남매가 연출하고 배우 배두나가 출연하는 미국 TV시리즈 ‘센스(Sense) 8’의 서울 촬영이 예정됐다.

서울시는 서울에서 6일 이상 촬영한 해외 영상물에 최대 1억원의 제작비를 지원하고, 장소 섭외를 위해 서울을 방문하면 항공비와 숙박비 등을 지급하고 있다.

박 시장은 면담 후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등 영화계 명소를 둘러봤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에는 드니 코데르(Denis Coderre)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과 LA시내 한 호텔에서 만나 공유경제와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두 시장은 내년 중에 상호 도시를 방문하고, 몬트리올에서 국제사회적경제회의를 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자매도시 결연도 추진한다.

박 시장은 이어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이자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을 건축한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와 만났다.

박 시장은 프랭크 게리에게 “서울의 역사와 문화, 생태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을 통해 도시를 새롭게 만드는 과정에 조언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시장은 오후에는 전 뉴욕 시장 마이클 블룸버그(Michael Bloomberg)가 주최하는 제2차 시티랩(City Lab)에 참석해 10여 개국 약 30개 도시 시장과 만나 도시문제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