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늦었지만 지역사회 확산 막도록 고강도 대책 필요…추가 공개해야” 공재광 시장 “평택시민 확진자 30명 타 지역 격리병원 입원…전 행정력 동원”
보건당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던 ‘ⓑ병원’이 평택성모병원이라고 공표한 5일 경기도 평택지역은 종일 뒤숭숭했다.병원명 공개를 요구했던 시민단체는 고강도 후속 대책을 주문했고 지자체는 주민불안심리 해소 방안을 강구하며 분주히 움직였다.
이날 오전 평택성모병원 인근에서 만난 가전제품 대리점 직원 2명은 “웬만한 평택 사람이면 평택성모병원을 다 알았다”면서도 “정부 발표로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들은 “며칠 전부터 매장을 찾는 손님이 눈에 띄게 줄었다. 손님들이 평택성모병원을 언급하며 오히려 우리를 걱정했다”며 “이번 발표로 매장이 더 어려워 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염려했다.
지난 2일 의료진과 행정직 등 병원직원 270여명 전원에게 12일까지 자가격리 조처가 내려진 평택성모병원은 모든 출입문이 폐쇄된 채 나흘째 외부인을 통제했다.
100면 가까운 지상주차장에는 건강검진센터버스와 구급차만 세워져 썰렁했고 병원 앞 약국 2곳과 편의점도 문을 닫았다.
메르스 확진 환자들이 머물렀던 8층 병동과 아래층 병동 상당수 병실은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 놓고 있었다. 지난 2월 문을 연 평택성모병원은 2개층 입원 병동을 운영했다.
평택성모병원 한 관계자는 전화통화에서 “병원명 공개는 각오하고 있었다”며 “우리 병원도 선의의 피해자인 만큼 하루빨리 메르스를 진압해 병원이 재개원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자가격리 지시로 메르스 확산 방지와 병원 정상화에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어 안타깝다”고도 했다.
메르스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해온 이은우 평택사회경제발전소 이사장은 “병원이름 공개가 너무 늦었지만, 이제라도 강도 높은 수습책을 강구해지역사회 확산을 막아야 한다”며 “전수조사가 더 폭넓게 이뤄져야 시민의 공포감과 불안심리를 잠재울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이사장은 “차제에 메르스 확진환자와 사망자가 거쳐 간 평택지역 다른 병원도 이름을 밝히는 것이 마땅하다”고 덧붙였다.
공재광 시장은 메르스 발병 후 첫 기자회견을 열어 메르스 발생경과 설명을 하고 방역대책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했다.
공 시장은 “충남 거주 68세 남성이 발열과 기침으로 평택성모병원에 입원했다가 서울의 한 병원으로 전원한 후 5월 20일 메르스 감염으로 확정진단됐고 확진자 41명 중 31명이 평택성모병원을 이용한 평택시민”이라고 밝혔다.
그는 “31명 중 1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30명은 전국의 국가 지정 격리병원에서 분산치료를 받고 있다. 평택에서 치료받고 있는 환자는 한 명도 없다”며 “시민들이 메르스 감염 걱정에서 조기에 벗어날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