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4’ 서울 교통사고 사망, 46년 만에 하루 평균 1명 밑으로

‘0.94’ 서울 교통사고 사망, 46년 만에 하루 평균 1명 밑으로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7-01-03 23:04
수정 2017-01-04 02: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343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교통사고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처음으로 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일평균 1명 미만인 0.94명이 됐다.

서울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970년 일평균 1.46명에서 시작해 1980년대 자동차 수가 급격히 증가하며 1989년 일평균 3.76명까지 늘었다. 2004년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500명 이하를 기록한 이후 약 10년간 감소 폭이 정체됐다. 하지만 이후 범정부 차원의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정책 추진으로 사망자 수는 꾸준히 줄어들었다. 2014년부터 최근 3년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4년 400명, 2015년 376명, 지난해 343명을 기록했다.

서울시의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970년 9.8명에서 1989년 13.0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점차 줄어들어 지난해 3.4명을 기록했다.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도 1970년 88.4명에서 1972년 109.2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16년에는 1.1명으로 최소치를 기록했다. 특히 시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선진국 주요 도시 수준으로 줄이기 위해 2012년부터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 종합대책을 추진해 왔다.

서울시는 “시의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전국 최저 수준이지만, 해외 선진도시에 비해서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라며 “베를린은 1.4명, 런던 1.5명, 뉴욕 2.9명 수준”이라고 밝혔다. 윤준병 도시교통본부장은 “2020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가 해외 주요 도시 수준인 인구 10만명당 2명, 일평균 0.6명 수준까지 개선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모아타운, 신통기획 등 사업 속도 ‘쭉’ 올라…금천구 모아주택 2곳 모두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21일 개최된 제11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에서 금천구 소재 모아주택 2곳의 사업시행계획안이 모두 통과된 것에 대해 “더 높이 더 빠르게, 금천구 숙원사업이 드디어 본격 궤도에 올랐다”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이번에 통과된 금천구 모아주택 사업은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모아주택 ▲시흥3동 943번지 일대 모아주택 2곳으로 총 1409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2030년까지 총 817세대가 공급된다. 12개동, 지하5층, 지상 35층 규모로 건설, 용적률 완화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2종 일반주거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을 모두 가져간다. 호암산 조망과 함께 최신 친환경 설계가 적용된 프리미엄 주거단지로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지역은 국토교통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1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선정됐고, 기존 2개 구역을 통합하여 사업시행구역 면적을 확대해 체계적으로 추진되어 온 만큼, 사업 안정성과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시흥3동 943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2030년까지 총 592세대를 공급한다. 7개 동, 지하 4층, 지상 20층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모아타운, 신통기획 등 사업 속도 ‘쭉’ 올라…금천구 모아주택 2곳 모두 통합심의 통과”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7-01-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