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발견 확률 2배 상승·생존율도 10% 높아져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수진·박민정 교수팀은 위내시경검사를 받은 5만 8000여명을 대상으로 위암 발생과 관련한 위험요인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위암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가족력과 장상피화생, 50세 이상의 고령, 남성 및 흡연 등이 꼽혔다. 특히 장상피화생은 위암 발병률을 무려 11배나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분석됐다. 장상피화생이란 만성 염증이나 위 상피조직의 불완전한 재생으로 정상이던 위점막 세포가 대장이나 소장의 상피세포와 비슷하게 변한 상태로, ‘위축성 위염’과 함께 위암으로 발전되기 직전 상태인 전암(前癌) 단계로 분류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내시경검사 기간이 위암의 조기진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2년 이하의 간격으로 내시경을 받은 경우 조기위암 발견율이 90.7%에 달했지만, 3년 이상의 간격일 때는 45.4%로 떨어졌다.
내시경으로 치료할 수 있는 환자도 2년 이하일 때 46.5%이던 것이 3년 이상일 때는 15.6%로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매년 주기적으로 내시경검사를 받는 환자는 98.6%가 진단 당시 조기위암 상태였으며, 내시경으로 비교적 간단히 치료가 가능한 경우도 56.9%로 높은 편이었다.
위암의 5년 생존율 역시 1~2년 간격으로 내시경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95%로 높았지만, 비정기적으로 내시경검사를 받은 환자는 86.1%로 낮았다.
위암은 한국인에게 발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국가암검진프로그램에서는 남녀 모두 40세부터 2년 단위의 내시경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소화기 관련 국제학술지 ‘국제암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박민정 교수는 “장상피화생은 물론 위암도 초기에도 별다른 증상이 없는 만큼 남녀 모두 40세부터는 최소한 2년 주기로 내시경검사를 받는 게 가장 효과적인 위암 예방법”이라며 “특히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장상피화생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1년 단위로 위내시경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4-1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