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배출 안 돼 심혈관질환 위험 커

충남의대 가정의학교실 김종성 교수팀은 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30세 이상의 성인 남성 1817명을 대상으로 평소 음주 습관과 안면홍조 여부,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남성은 662명, 얼굴색에 변화가 없는 남성은 872명, 나머지 283명은 평소 술을 마시지 않는 남성이었다.
조사 결과 소량의 음주 후 얼굴색에 변화가 없는 남성은 술을 마시지 않는 남성에 비해 10년 이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남성은 같은 양의 술을 마셔도 술을 마시지 않는 남성과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가 비슷했다.
소량의 음주가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술을 마셔도 얼굴이 홍당무처럼 달아오르지 않는 사람에게만 해당한다는 의미다. 술을 마시고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알코올 분해 효소가 날 때부터 적어 알코올을 잘 분해하지 못해서다.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독성물질은 다시 물과 탄산가스로 분해돼 몸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런 능력이 떨어지면 축적된 독성이 피부 쪽으로 이동해 얼굴이 붉어진다. 술을 마시고 얼굴이 빨개졌다면 이는 체내에 알코올로 인한 독성이 쌓이고 있다는 신호인 셈이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는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고혈압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면 홍조 여부와 관계 없이 술 자체가 건강에 득이 될게 없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과대 연구팀은 술을 적게 마실수록 심혈관 건강에 좋다는 결론을 내놨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4-1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