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감염자 2명 발생 ‘긴장’
우려하던 메르스 4차 감염자가 2명이나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내 감염에 대한 공포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바이러스가 2차·3차 감염자를 거치면서 감염력, 증상 등이 변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지만, 현재까지 국내 환자의 증상이나 감염력 등을 봤을 때 이동경로 증가에 따른 바이러스 변화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메르스 의사 완치… 다시 문연 365열린의원
원장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아 문을 닫았던 서울 강동구 365열린의원의 재개장 소식을 알리는 안내문이 14일 의원 현관문에 붙어 있다. 첫 번째 환자가 거쳐갔던 이 의원 원장은 지난달 27일 5번째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가 지난 8일 확진자 중 두 번째로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들의 증상은 초기 발열, 기침 및 재채기 등 기존 2·3차 감염자와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러스 이동경로가 증가해도 증상이 약해지지는 않는 셈이다.
김익중 동국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바이러스 자체의 변이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은 큰 변화가 일어난 것 같지는 않다”며 “단순히 2, 3, 4차 등 바이러스 이동 경로가 증가한 것만으로 변화한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다만 “중동보다 사망률은 낮고 전파력은 높지만, 콩팥 질환은 나타나지 않는 등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결국 확진자들의 임상적 통계와 역학조사로 밝혀내야 하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여전한 데다 4차 감염사례까지 발생하고 있지만, 무차별적인 지역사회 확산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산발적으로 지역사회에 감염자가 생길 수도 있다”면서도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성상 위협적인 수준은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대희 서울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감염경로(구급차, 병원)를 보면 무차별적인 지역사회 내 확산이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보건 당국이 현재 접촉자 분류 기준을 보다 강화하고, 방역망을 넓히는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6-1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