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위원회 여행·교역금지 권고 안 해
세계보건기구(WHO)는 17일 “한국의 메르스 발병이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WHO는 이날 긴급위원회 이후 발표한 성명에서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하지 않는다”면서도 “모든 나라가 예기치 않은 메르스 발병 가능성에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WHO는 이에 따라 여행과 교역 금지조치는 권고하지 않았으며 “입국 심사대에서의 열감지 검사는 불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메르스의 증상에 대해 감염 지역에 가는 여행객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
WHO는 긴급위원회 개최 결과 “한국에서 의료 종사자와 일반 대중의 메르스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고, 병원에서의 전염 예방이 최선의 상태가 아니어서 메르스가 빠르게 확산했다”고 지적했다. 병원의 복잡하고 밀집된 응급실과 병실의 문제, 여러 병원을 찾아다니는 환자의 행태, 그리고 많은 문병객이 찾는 한국의 문화도 메르스의 확산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크리스티안 린드마이어 WHO 대변인은 “한국의 메르스는 여전히 병원 안에서만 확산되고 있으며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볼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추가 감염 사례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바이러스의 변이 여부와 관련해선 “아직 중동에서와 다르지 않은 양상”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6일 메르스와 관련한 ‘한국의 메르스’라는 제목의 공지문을 갱신했다. CDC는 한국의 메르스 발병을 3단계 가운데 가장 낮은 1단계인 ‘주의’로 설정했다. CDC는 별도의 ‘한국 여행’ 공지문에서 “우리는 메르스를 이유로 미국인들에게 한국 여행을 변경하라고 권유하지 않는다”며 “현재 1단계 주의는 여행자들이 통상적인 주의를 기울이라는 뜻”이라고 밝혔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6-1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