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사당하는 병원 감염담당자
“지금은 전시(戰時) 상황이잖아요, 메르스와의 전쟁. 전방이 어디 있고 후방이 어디 있겠어요. 삼성서울병원이나 강동경희대병원 못지않게 저희도 초긴장 상태입니다.”서울의 한 대학병원 감염관리 간호사 김혜정(41·가명)씨는 22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우리 병원이 국민안심병원이긴 하지만 제가 일하는 감염관리실은 그야말로 아비규환 상태”라고 전했다. 김씨는 이 병원에서 단 2명뿐인 감염관리를 전담하는 간호사 중 1명이다. 김씨는 병원 내 청소·소독 관리와 해당 업무를 맡고 있는 용역 직원들에 대한 감염을 차단하는 임무도 맡고 있다. 의심 환자가 내원하면 제일 먼저 진료소로 달려가는 것도 김씨다.
김씨는 매일 새벽 5시 30분에 출근해 자정이 넘을 때까지 메르스 의심 환자들이 들어오는 선별진료소를 지키고 있다. 김씨가 메르스와 싸워 온 지도 이날로 34일째다. 주 120시간 격무에 시달리다 보니 수화기 너머로 살짝 쉰 소리가 들려온다. 그는 “체력적 한계는 느끼지만 제가 뚫리면 병원 전체가 뚫린다는 생각으로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질병관리본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수도 없이 공문이 쏟아진다. “감염 관리는 공문만 내려보낸다고 되는 게 아닌데 3~4개 행정라인에서 쏟아지는 공문에 대응하다 보면 잠을 못 잘 정도로 분주하다”고 했다.
병원 자체적으로 설치한 메르스대책반에서 확진 환자들의 역학정보를 토대로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지침을 호흡기, 감염내과 의료진과 함께 회의하고 숙지하는 것도 감염관리 간호사의 역할이다. 김씨는 한숨을 쉬며 가장 큰 고충을 털어놨다. “사실 메르스 의심 환자 진료에 선뜻 나서려는 의료진은 많지 않습니다. 병원 측도 특정 의료인에게 이를 강제하지는 못하는 입장이고요. 그러다 보니 소수 의료진이 몸을 혹사하며 사태를 감당하는 중이에요. 많은 격려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5-06-2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