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월드컵 뛰려면 ‘멀티’가 되라!

브라질 월드컵 뛰려면 ‘멀티’가 되라!

입력 2011-06-08 00:00
수정 2011-06-08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포지션 고수 구시대적 발상” 조 감독 원칙 실전서 보여줘

조광래 축구대표팀 감독이 늘 하는 이야기가 있다. “태극 마크를 달고 싶다면 ‘멀티플레이어’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7일 가나와의 평가전을 앞두고도 똑같은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실전으로 이게 무슨 뜻인지 잘 보여 줬다.

이미지 확대
조감독의 카리스마   조광래 축구대표팀 감독이 7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의 평가전에서 열정적으로 작전을 지시하고 있다. 전주 연합뉴스
조감독의 카리스마

조광래 축구대표팀 감독이 7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의 평가전에서 열정적으로 작전을 지시하고 있다.
전주 연합뉴스


●교체투입 선수들 기대이상 활약

경기는 전후반 90분 내내 한국과 가나가 숨 쉴 틈 없이 치고받는 통에 정신이 없었다. 동시에 한국은 1초만 딴생각을 해도 누가 어느 자리에 서 있는지, 어느 선수가 누구에게 패스를 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유기적으로 움직였다. 경기 전 그려진 포메이션은 무의미했다.

조 감독은 “포지션을 고수하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했다. 이 말은 선수들의 머릿속에 들어가 박혔고, 선수들은 구세대가 되지 않으려는 듯 필사적으로 그라운드를 누볐다. 자기 포지션을 지킨 선수는 골키퍼 정성룡과 중앙수비수 이정수, 홍정호가 전부였다. 나머지는 서로서로 자리를 바꿔 가며 공을 주고받았다. 수비형 미드필더 이용래가 과감하게 전방으로 침투했고, 최전방 공격수 박주영은 최후방까지 내려와 상대의 공을 뺏어 냈다. 좌우측 풀백 김영권과 차두리는 수비수인지 공격수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공격에 집중했다.

교체 전술은 더했다. 세르비아전에서 왼쪽 미드필더로 나왔던 이근호는 이번에 오른쪽 미드필더인 이청용과 교체돼 들어갔다. 결승골의 주인공 구자철은 당초 예정된 왼쪽 측면이 아닌 공격형 미드필더 김정우와, 소속팀 포항에서 미드필더인 김재성은 오른쪽 풀백 차두리와 교체 투입됐다. 또 오른쪽 측면 공격 자원인 남태희는 최전방의 박주영을 대신해 그라운드에 들어갔다. 승리가 간절한 상황에서 파격적인 교체 전술이었다. 어떤 상황에서 누구와 교체되더라도 제 몫을 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와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이날 교체 투입된 선수들은 짧은 시간에 기대 이상의 활약을 펼쳤다.

조 감독은 경기 뒤 “선수들이 변화하는 한국 축구에 대해 적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가나의 고란 스테파노비치 감독은 “한국은 선수는 물론 팀도 좋다.”면서도 “구체적으로 누가 뛰어난 선수였다고 말하긴 힘들다.”고 평가했다. 당연한 이야기다. 외국 감독이 비슷하게 생긴 선수들이 끊임없이 자리를 바꿔 가며 움직인 한국의 수훈 선수가 누구인지 찍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日 평가전은 K리거·J리거 위주로

같은 맥락에서 오는 8월 10일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열리는 일본과의 평가전은 K리거와 J리거들의 멀티플레이어 경연장이 될 예정이다. 조 감독은 8월 말 리그 개막을 앞둔 유럽파들에게 주전 경쟁에 대비할 시간을 주고, 상대적으로 출전 기회가 적었던 국내파, 일본파의 경기력을 지켜보겠다는 생각이다. 조 감독은 “7월에도 국내 선수들을 더 돌아보며 가능성 있는 선수들을 선발해 8월 일본과의 경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6-08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