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한국선수 본단 소치로’4년을 기다렸다!’

<올림픽> 한국선수 본단 소치로’4년을 기다렸다!’

입력 2014-02-01 00:00
수정 2014-02-11 0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겨울올림픽에서 3회 연속 세계 10위 이내 진입을 목표로 한 태극전사들이 마침내 장도에 올랐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우리나라 선수단 본단은 1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결전지인 러시아 소치로 떠나는 전세기에 올랐다.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제22회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선수단 본진이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하기에 앞서 ‘코리아 파이팅’을 외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제22회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선수단 본진이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하기에 앞서 ‘코리아 파이팅’을 외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선수단장인 김재열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을 비롯한 본부임원 18명과 스키 14명, 봅슬레이·스켈레톤 15명, 컬링 7명, 루지 5명, 바이애슬론 3명, 스피드스케이팅 2명 등 64명이 본단에 포함돼 출국했다.

선수단 기수로 선정된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맏형 이규혁(서울시청)도 소치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이규혁은 소치 대회 국가대표로 발탁돼 한국선수 중에서는 동·하계 대회를 통틀어 역대 최다 올림픽 출전 기록(6회)을 세운다.

김정행 대한체육회장 등 선수단 뒷바라지를 책임질 지원단도 이날 본단과 함께 소치로 떠났다.

소치 대회는 겨울올림픽으로는 러시아에서 처음 열리는 대회다.

이번 대회에는 스키, 빙상,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컬링, 아이스하키, 루지 등 7개 종목(15개 세부 종목)에서 총 98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우리나라는 아이스하키를 제외하고 6개 종목에 걸쳐 총 71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48명이 참가한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대회를 넘어선 역대 동계올림픽 출전 사상 가장 많은 선수가 태극마크를 달고 올림픽 무대를 밟는다.

알파인스키와 프리스타일 스키에서 각각 5명, 스키점프와 스노보드에서 각각 4명, 크로스컨트리에서 2명 등 스키 종목에서만 가장 많은 20명이 출전권을 획득했다. 15명이 출전하는 스피드스케이팅이 그다음으로 많다. 쇼트트랙과 봅슬레이에서 각각 10명, 컬링 5명, 루지 4명, 피겨 3명, 바이애슬론과 스켈레톤에서 2명씩이 소치올림픽에 나선다.

출전 선수가 늘다 보니 전체 선수단도 임원 49명을 포함해 총 120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가 됐다.

본단 출발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선수들은 종목별 경기 일정에 맞춰 소속 소치로 향할 계획이다.

한국의 메달 레이스를 이끌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은 본단에 앞서 지난달 25일 출국해 네덜란드 헤렌벤에서 전지훈련을 해왔다.

이들은 애초 헤렌벤에서 컨디션을 끌어올리고서 장거리 종목은 2일(이하 현지시간), 단거리 종목은 4일로 나눠 소치에 도착할 예정이었지만 더 빠른 현지 적응을 위해 각각 1, 2일 소치 땅을 밟기로 했다.

쇼트트랙 선수단도 지난달 22일 전지훈련지인 해발 1천800m대 고지의 프랑스 퐁트 로뮤로 출발, 마지막 ‘금빛 담금질’을 하고 있다. 이들은 5일 소치로 이동한다.

올림픽 2연패에 도전하는 김연아를 비롯한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은 오는 12일 출국할 예정이다.

소치올림픽은 7일 오후 8시 14분(우리시각 8일 오전 1시 14분)부터 피시트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릴 개막식을 시작으로 23일까지 치러진다.

우리나라는 소치에서 금메달 4개 이상을 획득해 겨울올림픽 3회 연속 종합순위 10위 안에 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대회에서 태극기를 앞세우고 동계올림픽 무대를 처음 밟은 한국은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대회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고 종합순위 7위에 올랐다.

이어 2010년 캐나다 밴쿠버 대회에서는 금메달과 은메달 각각 6개, 동메달 2개로 역대 가장 많은 메달을 수확하고 종합순위도 역대 가장 높은 5위를 차지하며 겨울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