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축구에서는 과학과 논리가 아니라 맹목적인 믿음이 지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게 축구의 묘미라고 강변하는 이까지 있었다. 축구 분석학의 대가이자 많은 축구팀과 축구 관련 기관에서 컨설팅을 하고 있는 두 영국인 교수가 쓴 ´지금껏 축구는 왜 오류투성일까´(브레인스토어)는 이런 오해와 편견에 정면 도전하고 있는데 최근 국내 번역본이 출간됐다. 2013년 초판 발행 이후 이듬해 개정을 거치면서 영국을 넘어 세계에 축구 숫자 혁명을 몰아오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화제의 저자는 크리스 앤더슨과 데이비드 샐리. 앤더슨은 17세 때 서독의 4부리그 팀에서 골키퍼로 활약했고, 현재는 아이비리그 중 하나인 뉴욕 코넬대 교수로 일하고 있다. 축구 분석의 개척자로서 많은 빅클럽들에 축구 데이터 및 숫자 활용 방법에 대한 컨설팅을 하고 있다.
샐리는 야구선수 출신이며 미국 다트머스 대학 턱 경영대학원 교수다. 협상과 의사결정 시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술과 전략들을 분석한다. 또한 세계 축구구단 및 기관들에서 고문으로 활약하고 있다.
우리말로 옮긴 이는 숭실대에서 경영학과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던 축구 기자 겸 칼럼니스트 이성모씨와 전북대 통계정보과학과를 졸업하고 런던대학 버벡 칼리지에서 스포츠경영학 석사를 취득한 국제심판 신우리씨다. 이씨는 현재 EPL을 중심으로 유럽축구 현장을 취재하고 있다. 저서로 ´누구보다 첼시 전문가가 되고 싶다´와 ´누구보다 맨유 전문가가 되고 싶다´, 역서로 ´안드레아 피를로 자서전´ ´아르센 벵거 평전. ´위르겐 클롭 평전´ 등이 있다.
신씨는 대한축구협회 2급 및 영국 런던 FA 소속 Level 7 심판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런던에서 축구 심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들은 축구에 관해 잘못된 고정관념들을 바로잡는다. 네 가지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Q: 골을 넣은 직후 가장 조심해야 한다?
A: No! 통계상 골을 넣은 직후의 실점률이 가장 낮다.
Q: 코너킥은 득점을 올릴 절호의 기회다?
A: No! 아무리 잘 훈련된 팀이라 할지라도 코너킥 득점률은 극히 낮다.
Q: 최고의 전력을 갖추려면 월드클래스 슈퍼스타가 필요하다?
A: No! 강한 선수보다 약한 선수가 팀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 약한 선수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Q: 롱볼 축구는 점유율 축구보다 퇴보된 전술이다?
A: No! 높은 점유율이 승리를 보장하지 않으며, 스토크 식의 롱볼 축구가 훨씬 효율적인 경우도 많다.
수많은 스포츠 연구가들과 언론매체들의 찬사 중 대표적인 것만 간추린다.
´아웃라이어´ ´다윗과 골리앗´ ´티핑 포인트´의 저자인 말콤 글래드웰은 “축구를 훨씬 더 아름답게 만들 책!”이라고 상찬했고, ´머니볼´의 주인공으로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운영사장 빌리 빈은 “주의하라. 이 책은 당신이 좋아하는 팀, 선수를 평가하는 방식, 축구를 관람하는 방식 등 모든 것을 바꾸어 놓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축구 철학의 역사: 위대한 전술과 인물들´의 저자 조너선 윌슨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축구를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대단히 흥미롭고 훌륭한 탐구”라고 상찬했다. 뉴욕 타임스는 “지난 세기 동안 축구를 정의해 왔던 사회적 통념과 근거 없는 믿음들이 틀렸음을 밝혀낸 책”이라고 적었다. 경제잡지 포브스는 “이 책은 팬들이 축구 경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경기를 생각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방식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평가했다. ´더 타임스´의 평가는 지독하게 신랄하다. “축구를 영원히 바꿔 버릴 책”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