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란 고2 때 기록, 중3 때 넘어… 역사를 드는 17세 소녀

장미란 고2 때 기록, 중3 때 넘어… 역사를 드는 17세 소녀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0-09-27 20:54
수정 2020-09-28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자 역도 기대주 안산공고 박혜정

이미지 확대
한국 여자 역도의 미래 박혜정이 27일 경기 안산 선부중 역도부 연습실에서 역기를 어깨에 받치고 서 있다.
한국 여자 역도의 미래 박혜정이 27일 경기 안산 선부중 역도부 연습실에서 역기를 어깨에 받치고 서 있다.
‘한국 여자 역도의 미래’ 박혜정(17·안산공고)의 눈은 더 높은 곳을 향해 있었다.

박혜정은 지난 20일 경남 고성 역도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전국역도선수권대회 여자 고등부 최중량급(87㎏ 이상) 경기에서 인상 118㎏, 용상 157㎏, 합계 275㎏을 들어 2위를 91㎏ 차로 여유 있게 따돌리고 우승했다. 지난 7월 전국춘계대회에서 용상 154㎏, 8월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에서 156㎏을 들고서 한 달 만에 치른 대회에서 자신이 세운 한국 주니어 기록을 1㎏ 늘린 것이다.

경기 안산 선부중학교에서 27일 만난 그는 이 기록에 만족하지 않았다. 자신의 꿈인 올림픽 메달과 가까워지려면 아직 세계 정상급 성인 여자 선수의 기록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중국의 멍쑤핑은 인상 130㎏, 용상 177㎏, 합계 307㎏으로 금메달을 땄다.

박혜정은 “제가 아직 잘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국에서는 다 칭찬해 주시는데 외국에 나가면 그냥 보통인 것 같다”고 겸손해했다.

그러나 그의 겸손은 어디까지나 겸손이다. 그는 이미 ‘역도 여제’ 장미란이 고2 때 세운 기록(235㎏)을 중3 때(255㎏) 넘었고 장미란이 고3 때 세운 기록(260㎏)을 고교 입학 후 처음 치른 대회(267㎏)에서 뛰어넘었다. 사실 지난 대회 기록도 코로나19로 한 달간 쉬다가 3~4일 정도 운동했는데 인상과 용상에서 신기록을 세운 것이다.

그는 유튜브에서 장미란 선수가 역도 시합을 하는 걸 보고 역도에 입문했다. 이후 불과 1년여 만에 참가한 2018년 전국소년체전에서 여중부 신기록을 세워 주목받았다.

육상·투포환 선수 출신 어머니와 축구를 즐기던 아버지 밑에서 태어난 그는 역도 선수로서의 천부적 재능을 발견하기 전까지 방황했다. 그는 “다이어트에 계속 실패했고 끈기가 없다는 말을 많이 듣던 아이였다”며 “하지만 역도를 시작하고 나서 달라졌다”고 소개했다.

선부중에서 15년 동안 역도 꿈나무를 지도해 온 조성현 코치는 “박혜정은 재능이 뛰어난 데다 노력까지 탁월한 선수”라며 “의지가 강하고 긍정적인 마인드까지 갖췄다”고 평했다.

박혜정은 “자기 자신도 들 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무게를 들고 나면 큰 쾌감과 뿌듯함이 한번에 몰려와서 너무 좋았다”며 “긍정적인 에너지가 ‘뿜뿜’ 샘솟아 나는 마법에 걸려 그날은 모든 것이 다 긍정적으로 보였다”고 했다.

‘포스트 장미란’이라는 수식어가 너무 부담스러웠다고 밝힌 그는 “이제는 제2의 장미란이 아닌 제1의 박혜정이 되고 싶다”고 힘차게 말했다.

글 사진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2020-09-2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