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과 탄성… 미리 본 전시회
길이 3m의 붉은 캔버스 압도적“그림 그리는 행위를 몸으로 실현”
로스코 초기작은 깊은 사유 유도
“꽉찬 밀도… 국내 보기 드문 전시”“붓을 들지 않는 작가, 이젤을 버린 회화. 잭슨 폴록이 바닥 위에서 춤추듯 펼친 선의 흔적은 단지 물감의 궤적이 아니라 시대정신의 궤적입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개관 1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 ‘뉴욕의 거장들: 잭슨 폴록과 마크 로스코의 친구들’ 프레스 투어가 열린 17일 미술전문가 토드 브랜도우 FEP재단 이사장은 폴록의 작품을 보며 이같이 평했다.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작품은 미국 유대인박물관이 소장한 폴록의 대작 ‘수평적 구조’(Horizontal Structure, 1949)였다. 길이 3m에 달하는 붉은 캔버스 위를 여러 층의 물감이 얽히고설키며 덮고 있다. 유대인박물관에서도 ‘박물관의 심장’이라 불릴 만큼 중요한 작품으로, 외부 전시는 이례적이다. ‘수평적 구조’의 예술적 가치는 약 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슨트를 맡은 한이준 왐뮤지엄 대표는 “폴록은 이젤을 거부하고 캔버스를 바닥에 펼쳐 놓은 채 작업을 했다”며 “붓 대신 깡통에서 물감을 뿌렸고, 그림을 그리는 행위 그 자체를 몸으로 실현한 작가였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하나의 현대미술사로 구성됐다. 도슨트는 “1940~1970년대, 미술의 중심이 파리에서 뉴욕으로 이동하던 시기, 미국 현대미술이 어떻게 세계의 주도권을 확보했는지를 여섯 개 섹션으로 풀어냈다”고 말했다.
전시의 중심에는 폴록과 로스코가 있다. ‘행위의 회화’를 선보인 폴록은 단순한 기법의 혁신을 넘어 주체적 예술가의 탄생을 알렸다. 관람객은 대표작 외에도 작가가 직접 출연한 다큐멘터리를 통해 당시의 예술관과 시대정신을 보다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또 다른 거장 로스코의 초기작에서는 얇은 색면을 통해 깊은 사유를 끌어낸다. 도톰하게 발린 적갈색과 회갈색의 캔버스는 시각을 넘어 관람객의 내면을 울린다. 윤영문 광주예술의전당 대표는 “로스코의 색은 응시할수록 빛이 아니라 감정으로 다가온다”며 “감상자가 머물러 사유하게 만드는 명상의 공간”이라고 평했다.
이번 전시는 유대인박물관이 아시아 지역에 처음으로 주요 소장품을 대규모로 공개한 자리다. 리처드 세라, 재스퍼 존스, 솔 르윗, 바넷 뉴먼, 프랭크 스텔라 등 총 21인의 작품 35점이 전시돼 미국 현대미술의 계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특히 유대계 예술가들이 주도한 뉴욕 미술의 도약기를 조명하며 단순한 미술 전시를 넘어 사회·문화사적 의미를 더한다.
한국미술협회광주지회 박광구 회장은 “작품 구성과 기획 밀도가 높아 국립현대미술관에서도 보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작품 간 대화가 살아 있고 기획 의도가 분명해 관람 몰입도가 뛰어나다”고 평했다. 이어 “이번 전시는 단순한 ‘뉴욕파’ 소개를 넘어 미술이 어떻게 국가 정체성과 결합되고 문화적 리더십으로 이어졌는지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ACC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것 외에도 민주주의와 인권의 도시 광주에서 자유와 실험정신으로 미술사의 지평을 연 뉴욕 거장들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김명규 ACC재단 사장은 “이번 전시는 ACC가 지역을 넘어 세계 예술의 흐름을 담아내는 플랫폼으로 성장했음을 보여 주는 계기”라며 “자유로운 창작과 도전정신이 ACC를 통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7월 18일부터 오는 10월 9일까지 ACC에서 열린다.
2025-07-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