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서 재추진 관측…최고위원·비노계 반발로 진통 예상도혁신위안 의결 판가름나는 20일 중앙위 앞두고 전운고조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선출직 평가위원회의 임명권을 문재인 대표가 행사토록 한 것을 두고 당내 비주류가 반발했으나, 정작 문 대표는 혁신안 발표 직후 구성권을 혁신위로 넘기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12일 알려졌다.그러나 문 대표의 이런 제안은 당시 최고위원회의 이견 속에 보류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2일 오전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에서 열린 김대중 평화 마라톤 6.15 서울대회에서 참석자들과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문 대표가 임명권을 가져갈 경우 비주류의 극심한 반발이 예상되는데다 혁신위와의 ‘사전교감설’ 등이 더욱 번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당 핵심관계자는 “당시 문 대표가 사무총장직 폐지는 물론, 평가위 구성안에 대해서도 몹시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이더라”면서 “(대표권한을 강화하는 것처럼) 오해를 살까 걱정하는 모습도 보였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런 방안은 최고위원회에서 이견이 나오면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결국 혁신위는 10일 “평가위 구성권은 최고위 의결을 거쳐 문 대표가 임명한다”고 보완 발표를 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표가 이후 임명권 이양을 재추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평가위 임명권 행사에 집착하기보다는 모든 것을 혁신위의 시스템에 맡기자는 것이 문 대표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반대 의견이 나오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이미 일각에서 혁신위를 향해 ‘친노 편향’이라는 비판을 내놓는 상황에서 임명권을 혁신위로 넘겨도 논란이 계속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비노계에서는 임명권을 혁신위로 넘기는 것보다는 최고위원회의 의결이라는 ‘안전장치’를 거쳐 대표가 임명토록 하는 것이 문 대표의 권한을 견제하는 데 낫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처럼 혁신안을 두고 당내에서 ‘설왕설래’가 끊이지 않으면서 13일 당무위원회와 20일 중앙위원회에서 혁신안이 무사히 통과될지를 두고 당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문 대표로서는 어떻게든 중앙위 의결을 끌어내야 하는 상황이다.
혁신위는 쇄신안이 중앙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보따리를 싸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더욱이 김 위원장은 “혁신안의 중앙위 통과 여부를 문 대표 리더십을 재는 잣대로 삼겠다”고 공언한 바 있어, 만일 의결이 무산된다면 문 대표도 지도력에 심대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지도부에서는 다소 어려움을 겪더라도 통과가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대 논란이었던 선출직 평가위 임명권의 경우 ‘최고위 의결을 거친다’는 문구를 집어넣어 보완한 만큼 비노진영의 반발 수위가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 혁신안에 반대할 경우 ‘반혁신세력’이라는 비판에 처할 수 있다는 점도 낙관론에 힘을 싣고 있다.
그러나 비주류를 중심으로 혁신안에 대한 반발도 만만치 않으리라는 전망도 있어 전운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비노계의 한 인사는 “결국 이번 혁신안은 문 대표의 권력 강화가 핵심”이라며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비주류 인사인 주승용 의원도 최근 김상곤 위원장과 간담회에서 “당원투표라도 거쳐야 할 중요 안건을 열흘 만에 중앙위에서 의결해 달라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지도부인 최고위원들 중에서도 최고위원제 폐지, 선출직 평가위 설치, 당원소환제 도입에 대해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일부 지역위원장들도 대의원 임명권한 등이 축소되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험로가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야권재편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이번 혁신안이 중앙위에서 제대로 처리되지 못할 경우 당이 크게 흔들리며 신당 추진론 등 ‘원심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